안동와룡농협


도산면

도산면Dosan-myeon

전통과 예절이 살아 숨쉬는 마을 도산면입니다.

/

퇴계선생, 농암 이현보선생 등 많은 인물이 태어난 곳 도산면

유교문화가 원형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추로지향의 마을로 도산서원, 퇴계·농암종택, 한국국학진흥원, 경상북도 산림과학박물관 등 고전과 현대가 어우러져 곳이며,
고택체험, 선비문화체험, 수려한 자연경관 등 전통문화체험과 관광을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천혜의 청정지역이다.
특산물로는 사과, 고추가 있고 여름 수박, 감자, 고랭지 배추와 무가 유명하다.

  • /
    도산서원
  • /
    퇴계종택
  • /
    농암종택

연혁

  • 1904. 10. 예안현, 의동면, 의서면, 하남면, 일부를 편입하여 도산면 으로 불리우다가
  • 1914. 04. 01 군.면통합에 따라 의서면 8개리, 읍내면 일부, 하남면 2개리를 병합 가송, 단천, 분천, 의촌 10개동으로 개편관할
  • 1971. 04. 08 안동 다목적댐 건설로 분천, 의촌, 토계, 원천, 단천, 5개리가 수몰
  • 1974. 07. 01 안동댐 완공으로 예안면, 서부, 동부, 선양 3개리를 편입
  • 1974. 11. 01 서부출장소를 설치 관할
  • 1976. 10 안동댐 완공으로 예안면(禮安面), 서부(西部), 동부(東部), 선양(宣陽) 3개리를 편입
  • 2008. 09. 29 서부출장소 폐지

마을 현황

  • 면적 : 101.87km²
  • 가구 및 인구 : 947가구 / 1,634
  • 교육기관 : 초등학교 1, 중학교1
  • 사업체 현황 : 111 개소
  • 행정구역 : 18개리(토계리, 분천리, 의촌리, 원천리, 단천리, 가송리, 태자1리, 태자2리, 온혜1리, 온혜2리, 온혜3리, 운곡리,의일1리, 의일2리, 동부리,서부1리, 서부2리, 선양리)

가송리

청량산(淸凉山) 줄기가 마을을 에워싸고 있다.

가송리는 풍수적으로 천옥(天獄)이라 불리울 만큼 매우 폐쇄적인 지형세를 띄고 있는 마을로 청송 주왕산(周王山)과 더불어 영남의 소금강(小金剛)으로 일컬어지는 청량산(淸凉山) 줄기가 마을을 에워싸고, 한복판으로는 낙동강의 원줄기가 흘러간다. 특히 청량산의 대(臺) 밑에 형성된 가송협(佳松峽)은 안동 땅의 수많은 경승 가운데서 산수미(山水美)의 첫째를 곱을 만큼 안동산수의 압권이라 일컬을 만하다. 마을은 강을 중심으로 하여 동쪽에 가사리, 서쪽에 소두들, 그리고 소두들에서 남서쪽으로 고개를 넘어가면 올미재가 있다. 가송리는 구한말 예안군 의동면에 속한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가사리, 송오리, 고리, 광석동 일부, 운천동 일부와 봉화군 하남면의 여을며리 일부를 병합하여, 가사리와 송오리의 이름을 따서 가송동(리)이라 하여 안동군 도산면에 편입되었으며 1995년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가송리는 현재 고리재, 소두들, 가사리, 올미재 마을 등의 작은 마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구수는 약 70호를 헤아린다.

단천리

단사, 항곡, 백운지, 면천 등 4개의 작은 마을로 구성

단천리는 구한말 예안군 의동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면천리, 백운리, 항곡리, 단사리, 원촌동 일부를 병합하여, 단사와 면천의 이름을 따서 단천동(리)이라 하여 안동군 도산면에 편입되었다. 1976년 안동댐 건설로 마을의 일부가 수몰되었으며, 1995년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이 마을은 단사, 항곡, 백운지, 면천 등 4개의 작은 마을로 구성되었으며 가구수는 약 30호를 헤아린다.

동부리

예안읍의 동쪽이므로 동부리

동부리는 구한말 예안군 읍내면에 속한 지역인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만촌동, 관저동, 교촌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예안읍의 동쪽이 되므로 동부동(리)이라 하여 안동군 예안면에 편입되었다. 그후 1973년에 안동댐이 건설됨에 따라 일부가 수몰되고 나머지 일부는 1974년에 도산면에 편입되었으며, 1995년 안동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동부리는 현재 동부 1리와 동부 2리로 나누어 40여 호가 살고있는데 새터, 괴네, 송티 마을은 동부 1리에 속하며, 월천 마을은 동부 2리에 속해있다.

분천리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 1467∼1555) 선생을 비롯하여 수많은 인물이 대를 이어 배출된 유서 깊은 마을

분천리는 구한말 예안군 의동면 지역으로서 부내, 또는 분천(汾川), 분강촌(汾江村)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분천동(리)라 하여 안동군 도산면에 편입되었으며 1995년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부내는 원래 영천 이씨(永川李氏)의 집성촌으로, 입향 시조는 고려말엽에 군기시소윤(軍器寺小尹)을 지낸 이헌(李軒) 공이다. 공은 어지러워 가는 세상일을 염려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 영천을 떠나, 천석(泉石)이 아름다운 분강(汾江) 굽이에 안주(安住)의 터전을 마련하였다고 한다. 소윤공(少尹公)이 동네를 둘러보니 낙동강 물이 밝게 흐르므로 부내라 불렀다고 하며, 한자로는 분천(汾川)이라 한다. 이 마을은 소윤공이 약 600년 전에 입향한 이후로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 1467∼1555) 선생을 비롯하여 수많은 인물이 대를 이어 배출된 유서 깊은 마을이었으나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수몰지구가 되어 현재 송티와 넘티 등 2개의 마을만 남아있으며 가구수는 20여호가 살고있다.

서부리

예안읍의 서쪽이므로 서부리

서부리는 원래 예안군 읍내면에 속한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관저동, 교촌동, 만촌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예안읍의 서쪽이 되므로 서부동(리)이라 하여 안동군 예안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973년 안동댐 건설로 인해 일부가 수몰되고, 나머지 일부는 그 이듬해 도산면에 편입되었으며, 1995년 안동군이 안동시에 통합됨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선양리

선안과 무양의 이름을 따서 선양동(리)

선양리는 구한말 예안군 읍내면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선안동, 무양동, 교촌동, 천전동의 각 일부와 서면의 구송동 일부를 병합하여 선안과 무양의 이름을 따서 선양동(리)이라 하여 안동군 예안면에 편입되었다. 1973년 안동댐 건설로 마을의 일부가 수몰되고, 나머지 일부는 그 이듬해 도산면에 편입되었는데, 1995년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선양리에는 독작골, 송라, 뒷송, 영양계 마을 등이 포함되며, 가구수는 30여 호이다.

온혜리

온천(溫泉)이 있어서 여러 사람에게 은혜를 베풀게 되었다하는 뜻으로 온혜(溫惠)라 하였다

온혜는 안동에서 북쪽으로 청량산으로 가는 35번 국도를 따라 30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동네로 예부터 온천(溫泉)이 있어서 여러 사람에게 은혜를 베풀게 되었다하는 뜻으로 온혜(溫惠)라 하였다한다. 온혜는 주자학(朱子學)을 집대성한 대유학자(大儒學者)로 후세의 추앙을 받는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선생이 태어난 유서 깊은 곳으로 구한말에는 예안군 의서면에 속했으며, 왜정초인 1914년에는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사곡리, 고산리를 병합하여 온혜동(리)이라 하여 안동군 도산면에 편입되었다가 1995년에는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이 마을은 가구수가 약 190호로 온혜 1리와 온혜 2리, 온혜 3리로 나누어지는데 논실, 건지골, 동작골, 고산, 삐끼실은 온혜 1리에 속하고, 중마, 합강, 청계 마을은 온혜 2리에, 그리고 배미골과 평지, 상촌은 온혜 3리에 속한다. 마을 앞에는 온혜천(溫惠川)이 흐르는데 이 물은 도산면 용두산에서 발원하여 남으로 흘러 온혜에 이르는데, 온천이 있어서 겨울에도 얼지 않으므로 온계(溫溪)라고도 부른다. 이 물은 북쪽에서 오는 태자리의 물을 합하여 큰 내를 이루어 꺾이어 동남쪽으로 흘러 토계리에 이르러 퇴계(退溪)가 되고, 토계리의 남쪽에서 낙동강으로 들어간다.

운곡리

해발 480m의 국망봉(國望峯) 사이의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

운곡리는 원래 예안군 의서면의 지역으로서 구레실, 또는 운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갈곡, 도곡, 황정을 병합하여 운곡동(리)이라 하여 안동군 도산면에 편입되었으며, 1995년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이 마을은 도산면 서북쪽에 위치하는 해발 661m의 용두산(龍頭山) 서쪽 지맥으로 도산면 온계에서 수백 보 거리에 솟은 해발 480m의 국망봉(國望峯) 사이의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는 마을이다. 용두산에서 발원하는 상계천(上溪川)이 마을을 감싸 흐르고 도곡, 구래실, 황정, 갈골, 서암 등의 작은 마을들이 그 주변 산간지대에 옹기종기 모여있으며 가구 수는 30여 호이다.

원천리

원촌과 천곡의 이름을 따서 원천동(리)

원천리는 1895년(고종 32)년 지방관제 개편에 의해 예안군 의동면의 지역이었으나 왜정초인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원촌동, 천곡동, 이곡리를 병합하여 원촌과 천곡의 이름을 따서 원천동(리)라 하여 안동군 도산면에 편입되었다. 1976년 안동댐으로 인해 수몰지구가 되었으며 1995년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원천리에는 원원천 마을인 원촌 마을과 내살미 마을이 있으며 50여가구가 살고 있다.

의촌리

의인리와 섬촌을 병합하여 의촌동(리)

1895년(고종 32)년 지방관제 개편에 의해 예안군(禮安郡) 의동면에 편입되었으며, 왜정초인 1914년에는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의인리와 섬촌을 병합하여 의촌동(리)이라 하여 안동군 도산면에 편입되었다. 선성지를 보면 의인(宜仁)은 '현 동쪽 9리에 있으며 고려 공민왕이 승격시켜 현으로 만들어 지금의 명칭으로 고치고 안동에 복속시켰으며 공양왕때 다시 예안현에 복속 되었다고 하였다.' 1973년 안동댐이 시설됨에 따라 수몰 지구가 되었으며 1995년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마을이 수몰되고 의인 마을과 섬촌 마을에 20여 가구가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고 있다.

태자리

태자산이 있어서 태자산, 태자산리 또는 줄여서 자산이라 불렀다. 

태자리는 원래 봉화군 하남면의 지역으로서 태자산(太子山; 도 산천)이 있어서 태자산, 태자산리 또는 줄여서 자산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으로 하곡, 반정리, 여울며리와 예안군 의동면의 가송동 일부와 의서면 고산의 일부를 병합하여 태자동(리)이라 하여 안동군 도산면에 편입되었으나 1995년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현재 태자리는 태자 1리와 태자 2리로 구분하는데 가구수는 120가구를 헤아린다. 이 중 태자 1에 소속된 마을이 지경, 널매, 고리재이며, 태자 2리에 속한 마을이 장선, 소정, 원태자, 머골, 다랫재이다.

토계리

냇물의 이름이 토계(兎溪)

토계리는 구한말에 예안군 의동면의 지역으로 왜정초인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양평, 상계, 하계, 계남, 섬촌 일부와 의서면의 온혜동 일부를 병합하여 토계동(리)라 하여 안동군 도산면에 편입되었으며, 1976년 안동댐으로 인하여 수몰지구가 되었으며 1995년 시군 통합에 따라 안동시에 속하게 되었다. 태백산(太白山)의 지맥인 용두산(龍頭山)과 도산면 태자리에서 근원하여 온혜(溫惠)를 거쳐 흐르는 냇물이 상계(上溪) 마을의 퇴계종택 앞을 지나 낙동강에 흘러드는데, 종택 앞으로 흘러가는 냇물을 퇴계(退溪)라 한다. 원래 냇물의 이름은 토계(兎溪)였으나 명종 원년에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이 이 냇가 동암(東巖)에 양진암(養眞菴)을 짓고, 냇물의 이름을 퇴계(退溪)로 고친 후 선생의 아호(雅號)로 삼았는데, 후에 토(兎)자를 음(音)이 같은 토(土)자로 고쳐 마을 이름을 토계(土溪)로 불렀다고 한다. 토계 마을은 원래 퇴계천의 상류에 위치한 상계와 그 하류인 하계(下溪), 퇴계천 건너 남쪽에 자리 잡은 계남(溪南), 하계를 지나 고개 너머에 있는 원촌(遠村) 등의 4개의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안동댐 수몰로 마을이 재편되어 지금은 양평, 상계, 하계가 토계리에 속해 있으며, 계남 마을은 완전히 수몰되었으며, 원촌 마을은 도산면 원천리(遠川里)에 편입되었다. 현재 토계리는 2개 반으로 나누어지며 가구수는 50집이 살고 있다.

/
도산서원

사적 제170호로 지정된 도산서원은 조선중기 대학자인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을 연구하며 제자들을 가르치다
세상을 떠난 후, 유림의 공의로 선생의 학덕을 본 받고자 도산서당 위에 지은 건물이다.

/

도산서당퇴계 선생께서 4년에 걸쳐 지으신 건물로몸소거처하시면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거처하시던 방은 '완락재'라 하였고, 마루는'암서헌'이라 하였다.

/

도산서원 전교당지정 : 보물 제210호소재지 :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이건물은 퇴계 이황을 추모하는 도산서원의 강당으로 조선 선조 7년(1574)에 건립되었다. 건물의 구조는 매우 간소하며 대청과 온돌방으로 구성되었다. 선조가 이름을 내린 현판의 글씨는 명필인 석봉 한호가 쓴 글씨라고 한다.

/
퇴계태실

도산면 온혜리 노송정 종택에 있는 특이한 건축구조물이다.
종가 중심에 자리한 것으로 자손을 잇는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구조물이다.

/
퇴계묘소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 의 천년 유택(幽宅)이다. 묘전비 전면에는 관작을 쓰지 않고 ‘퇴도만은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라고 간결하게 적혀 있는데, 이는 선생의 유명(遺命)을 따른 것이다.
선생께서 손수 지은 자명(自銘)과 제자인 고봉 기대승이 지은 묘갈명이 새겨져 있다.
묘소에는 아담한 봉분과 동자석 2, 망주 2, 문인석 2, 묘비 1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매우 간결하고 조촐한 느낌을 주고 있다. 건지산 묘소로 오르는 길에는 돌계단이 마련되어 수월하게 오를 수 있다. 빗돌의 글씨는 당대의 명필로 ‘선성삼필(宣城三筆)’ 중의 한 분으로 칭송을 받았던 금보(琴輔)가 썼다. 현재의 비는 1905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

농암종택- 소재지 :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농암종택은 낙동강 상류 청량산 자락,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자리하고 있다.

/

농암각자애일당 아래 축대 위 네 개의 바위에 두 자씩 새겨놓은 것인데 “聾巖先生亭臺舊庄”이라고 음각 되어 있다. 제작시기를 명확하지 않으며 후대에 문인들이 새긴 것이다. 안동댐 건설로 각자 조각만 떼어 현재 분강 애일당 아래에 옮겨두었다.

/
긍구당

이 건물은 농암 이현보(1467~1555)의 종가 서쪽에 위치한 별당이다.
이 건물은 고려말 이헌이 처음 건립하여 손님을 맞는 별당으로 사용하던 것을 농암이 중수하여 긍구당이라 하였다고 한다.
긍구당 글씨는 영천자 신잠(1491~1554)이 썼다고 한다.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ㄴ'자형 집이다.
규모가 작고 꾸밈이 없어 단조롭지만 누마루를 두어 별당으로서의 여유와 운치가 있다. 원래 넓은 뒷뜰에는 담이 없어서 주변의 자연공간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별당 중에서도 매우 자유로운 배치 형식이다.

/
애일당

이현보가 46세 때 부모님을 위하여 분강에 건립한 건물이다.
강호가단이 형성된 뜻깊은 정자이며 이언적 이황 등의 시문이 있다.

/
불곡 이천 유허비

이천 선생의 유허비는 안동시 도산면 동부리 국학진흥원 인근 35번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다.
높이 234cm, 폭 82cm, 두께 54cm의 비각에는 보국숭록대부판중추원사익양예안이공유허비 라고 적혀있다.
국문학자 이희승 박사가 짓고, 이택진이 쓴 비문에는 불곡 이천의 일생이 잘 정리되어 있다. 이천의 유허비는 1982년 예안이씨문중에 의해 설치되었다.

도산면의 특산물

단포박
/
  • 단단하고 모양이 일정하며 당도가 높은 단호박
  • 출하시기 : 7월 중순 ~
  • 일교차가 심하고 일조량이 높아 높은 당도를 자랑합니다.
  • 농약 사용이 필요없는 무공해 식품
사과
/
  • 빛깔이 곱고 당도가 높습니다.
  • 출하시기 : 9월 하순~
  • 동부사과작목반
  • 서부사과작목반
  • 감애사과작목반
  • 등 11개 작목반
  • 2~300미터 산지에서 자란 꿀사과
감자
/
  • 사양토에서 자라 병이 적어 약을 거의 치지 않는 안전한 먹거리
  • 출하시기 : 6월 중순~
  • 단단하고 굵은 낱알
  • 저온 저장고에 보관되어 싱싱한 감자를 봄까지!
고추
/
  • 맑은 바람을 맞아 빛깔이 곱고 강렬한 볕을 받아 맛이 매콤합니다.
  • 출하시기 : 8월 초순
  • 지내고추작목반
  • 와룡친환경농업작목반
  • 와룡비가림고추작목반
  • 등 11개 작목반
  • 도산 고추는 볕을 많이 받아 매콤합니다.
벌꿀
/
  • 청정지역에서 생산한 벌꿀
  • 투명한 황금빛으로 농도가 높습니다.
안동와룡농협

대표 : 신정식 / 사업자등록증 : 508-82-00325 [사업자정보공개]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6-경북안동-00041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이희선 메일 : nh707027-1@nonghyup.com / 주소 : 우) 36611 경북 안동시 와룡면 퇴계로 835 (태리)
전화 : 054-857-0765 / FAX) 054-857-0767 안동와룡농협 산지유통센터 전화 : 054-855-0762~3 (상품문의) FAX) 054-855-0765

Copyright © 안동와룡농협. All rights reserved.